"이십팔점 무당벌레"
무당벌레는 유충과 성충기간 모두 진딧물을 포식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무당벌레류 는 약 90여종 이상이며 모두 포식성이다.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가 가지, 감자등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진딧물이 대 발생했을때 방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성충으로 월동을 하며 10월 중하순 경부터 남향으로 위치한 바위나 담 같이 양지 바른 곳에 수천 마리씩 모여드는 특성이 있다.
성충으로 방사하였을 경우 진딧물을 포식한 다음날부터 하루에 30개 이상의 알을 낳으며, 산란된 알은 노란색으로 3∼4일 휴면 유충으로 부화되어 유충들이 진딧물 포식을 한다.
진딧물을 주로 포식하지만 온실가루이 약충, 응애류, 나방류의 알 등도 포식하며, 유충 과 성충기간에 약 1,000마리의 진딧물을 포식한다.
성충이 일생 동안 산란하는 알의 수는 약 600∼800개를 낳는다.
알→유충→번데기→성충의 단계를 거치며, 봄과 가을철의 경 우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약 21∼25일이 걸린다. 성충 수명은 약 2∼3개월 정도다 . <네이버>지식백과사전
내용으로 보아 진딧물을 잡아 먹는다니 이충 인것같은데, 내가 목격한 바로는 해충인것 같고?
위의 내용에 있듯이 이놈이 아마 이십팔점박이 무당벌레인것 같네요.
봉선화 꽃잎을 갉아먹고있네요. 개미들은 무당벌레한테서 무언가 얻는게 있는것 같습니다.
주변에 개미가 엄청 모여드네요. 서로 싸우는 것은 아닌것 같고?
이십팔점인지는 세어보진 않았지만...... 색깔도 음흉한 놈이 왠지 기분나쁜 놈이네요.
까마중 잎 뒤에 요렇게 알을 붙여 놓았네요. 25개.
한 놈만 나타났다 하면 그 잎은 하루도 못가 그물을 만들어 놓네요.
잎을 아주 아작을 내 놨습니다.
'곤충&동물 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걱정입니다. 주홍날개꽃매미 (0) | 2012.07.09 |
---|---|
너 왜가리 맞지? 쇠백로가 맞아. (0) | 2012.07.08 |
느림의 미학 달팽이 (0) | 2012.07.07 |
대단위 개미마을 공사현장에 가다. (0) | 2012.07.05 |
흰둥이 오형제 업그레이드판(ver. 7.02 ) (0) | 2012.07.03 |